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올 1분기에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만 소득이 5%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대부분이 노인이나 청년, 자영업자라는 점을 감안할 때
취약계층이 코로나19의 경제 충격에 먼저 노출될 것이란 우려가 통계로 확인된 것이다.
2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3월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33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11만8,000원) 감소했다.
1인 가구 소득은 2017년 3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10개 분기 연속 전년 대비 증가해 왔지만,
코로나19 여파로 2년 반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반면 2인 가구 소득은 362만8,000원으로 1.7% 증가했고,
3인 가구는 9.6% 늘어난 594만원으로 집계됐다.
4인 가구 소득(686만9,000원) 역시 2.6% 늘었고,
5인 이상 가구 소득은 전년과 같은 673만8,000원이었다.
1인 가구의 소득 감소는 정부가 지급하는 공적 이전소득이
전년 대비 3.6% 줄어든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고령층이 많은 1인 가구는 이미 복지 혜택을 많이 받고 있어
상대적인 소외 효과가 나타났을 수 있다고 풀이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기초연금과 장애인연금 지급 대상이 확대됐지만,
노인 1인 가구는 이미 그 전부터 수혜 대상이었을 가능성이 크고,
아동수당 지급 범위 확대는 1인 가구와 무관하다”며
“5월부터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이 반영된 2분기는
소득이 다소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자영업 불황의 여파로 사업소득이 11.2% 급감했고,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재산소득과 민간단체나
개인이 무상으로 지불하는 사적 이전소득도 각각 25.9%, 14.2%씩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전체 소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근로소득이
154만8,000원으로 1년 사이 0.9% 늘어난 것이다.
코로나19로 지난 3월 임시ㆍ일용직 일자리가 50만개 이상 사라졌음에도
1인 가구는 비교적 ‘선방’한 셈인데,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공공일자리의 소득이 선지급된 효과가 반영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문제는 1인 가구 소득 악화가 분배지표에 반영조차 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지난해 1분기 5.18배에서
올해 5.41배로 확대됐는데, 여기엔 평소와 같이 2인 이상
가구 소득만 집계 대상에 들어갔다. 저소득층이 많으면서
전체 가구 중 30.2%에 달하는 1인 가구가 포함됐다면
소득격차가 더 벌어졌을 것이란 얘기다.
통계청 관계자는 “1인 가구 조사를 처음 실시한 2006년만 해도
1인 가구 비중이 작았고, 소득이 없는 고령층이 많아 공식 소득 통계에
포함하지 않았다”며 “내년 1분기부터는 1인 가구를 포함해 소득,
지출 통계를 작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로 인한 소득 감소는 하위 10%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인 이상 가구를 소득 10분위별로 분석한 결과, 1분위 소득은
95만9,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했다.
여기에 소득이 0.2% 소폭 줄어든 4분위를 제외하면,
모든 분위에서 소득이 늘었다. 이에 따라 1분위 가구의 경곗값을 10분위 가구
경곗값으로 나눈 P90/P10 배율은 6.17배에 달했다.
세종=손영하 기자 frozen@hankookilbo.com